PSAT는 왜 보는걸까?
보통 많은 부모님들이 SAT는 대학 입학을 위한 시험이라는 것을 잘 알지만 PSAT는 어떤 목적을 지니고 있는 시험인지 도통 알기가 어렵다. PSAT는 Preliminary SAT 혹은 Practice SAT를 뜻한다. 간단히 이야기 하면 연습용 SAT 라는 것이다.
그렇다고 단순히 SAT 연습만을 위해 만들어진 시험은 아니다. PSAT는 8학년부터 11학년까지 응시 할 수 있지만 필수는 아니다. 단 시험 응시를 한다면 결과를 받게 되고, 결과 분석을 통해 학생의 college readiness 레벨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8학년부터 11학년까지 꾸준히 PSAT를 본다면 학생의 progress 또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PSAT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면 대학 입시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차차 설명하도록 하겠다.
PSAT 종류
PSAT 8/9
8, 9학년들을 위해 design 된 시험이다. Reading & Writing 그리고 수학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과목은 module 1 & module 2 로 나뉘어져 있다. 총 4개 module의 시험이 되는 것이다. 시험에서 받을 수 있는 점수는 240-1440이며 영어, 수학 section에서 각 120-720점씩 score이 가능하다. 총 시험 시간은 2시간 14분이며 세부 내용은 아래 차트와 같다. Reading and Writing이 64분인데 이 64분이 각 32분씩 each module로 나뉘는 것이다. 수학도 동일하게 이해하면 된다.
해당 차트는 College Board 웹사이트를 참고했다.
https://satsuite.collegeboard.org/psat-nmsqt/whats-on-the-test/structure
PSAT 10
10학년을 위해 design 된 PSAT 시험이다. 시험 Structure과 시간은 PSAT 8/9과 동일하다. 학생의 college readiness를 측정하기 위함에 주안점을 둔다는 것 또한 동일하다. 단 다른 점이라면 각 과목에서 낼 수 있는 점수가 160-760 이라는 점이다 (PSAT 8/9은 120-720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PSAT 10은 가능 시험 점수가 320-1520이다.
PSAT/NMSQT
10학년, 11학년이 볼 수 있는 시험인데 이 녀석이 중요한 시험이다 (정확히 이야기 하면 11학년 때 보는 PSAT/NMSQT 시험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이 시험에서 점수를 잘 받으면 National Merit Scholarship에서 장학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장학금도 장학금이지만 National Merit Scholarship을 받았다는 것이 대학 원서에 기재되면 이는 굉장한 이점으로 작용한다. 미국 전체 학생들 중 학구적으로 좋은 대학 입학 가능성을 크게 높이며 많은 대학으로부터 financial aid를 받을 수 있는 확률을 높인다.
10학년 11학년 모두 이 시험을 볼 수는 있지만 10학년 성적은 National Merit Scholarship을 신청하는데 사용할 수 없다. 11학년 때 본 시험 성적만 count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PSAT 10과 PSAT/NMSQT의 다른 점이 궁금해 질 수 있는데 그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해당 차트는 College Board 웹사이트에서 참고했다.
https://satsuite.collegeboard.org/k12-educators/administration/psat-nmsqt/prepare-staff/comparison
PSAT 점수 이해하는 법
실제 SAT는 가능 점수가 400-1600인데 PSAT 8/9는 240-1440이고 PSAT 10 & PSAT/NMSQT는 320-1520이다. 도무지 왜 이렇게 복잡하게 만들어 놨는지 이해가 안 갈 수 있지만 굳이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다.
단순하게 PSAT 8/9, PSAT 10 & PSAT/NMSQT에서 받는 점수가 SAT에서 받을 점수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학생이 PSAT 8/9에서 수학 500점을 받았다면, 현재 상태로는 SAT 수학 점수가 500정도 나올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PSAT 10에서 650점을 받았다면 이는 학생이 열심히 공부를 했다는 반증이며 수학 점수가 150점 성장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